선릉스웨디시 처음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교육부가 보고한 ‘인공지능(AI) 기반 미래형 평가로의 전환 준비’ 정책이다. 서·논술형 평가의 확대를 통해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의력 강화를 목표로 한 해당 정책은 내신의 서·논술형 문항 채점 과정부터 AI 기술을 적용하고,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면 수능 선릉역스웨디시 경기도교육청은 AI를 기반으로 학생 맞춤형 교육과 교수·학습 설계 자동화 및 스마트단말기 기반의 미래형 교실 환경 제공 등 학생과 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을 지원하는 플랫폼인 ‘하이러닝’을 2023년 9월 도입한 이후 지속적으로 고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는 특히 교육 본질의 회복을 통한 대학입시제도의 개편 방안을 모색 중인 도교육청의 방향성을 동력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및 수준에 따라 공정하고 일관성 있는 채점을 통해 학생에게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 평가 전 과정을 표준화해 지원하기 위해 ‘하이러닝 인공지능(AI) 서·논술형 평가시스템’을 개발했다.
평가 방식은 AI를 활용해 교사가 설계한 ‘평가 기준과 평가 요소(루브릭)’에 맞춰 학생 답안을 자동 채점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며, 부족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도 상세히 제공된다. 또 △학생 손 글씨 답안을 디지털 문자로 변환(OCR 엔진)하는 평가 △평가 설계 - 배포 - 채점 - 피드백 - 리포트 전 과정의 ‘원스톱 운영’ 등 표준화된 평가 운영 도구를 제공함으로서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했다. 이 같은 특성은 지난 2일 경기도교육청에서 진행된 ‘2025 디지털 전문 교원 아카데미 성과 나눔 발표회’에서 확인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