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이혼변호사 인간과 컴퓨터간 상호작용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대회로 꼽히는 CHI(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콘퍼런스 2024에서 발표된 "스태잉 앳 더 로치모텔(Staying at the Roach Motel)"이라는 논문은 온라인 구독 해지가 의도적으로 어렵게 설계돼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가입은 빠르고 편하지만 해지는 어렵게 설계된 구독 구조를 뜻하는 다크패턴 유형은 △취소 버튼 숨기기 △해지 전 불필요한 설문 요구 △"정말 나가시겠습니까?"식의 심리적 압박 △무료 체험 종료 후 자동 유료 전환 등이 있다. 이런 패턴이 단순한 소비자 불편을 넘어 법적·윤리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해지 절차의 불편함을 해소하더라도 문제는 남는다. 근본적으로 소비자가 다른 플랫폼으로 자유롭게 옮겨갈 수 없는 이유는 바로 "데이터 주권(Data Ownership)"에 있다. 구독경제 관련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선 데이터 주권부터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은 꾸준히 제기됐다. 소비자들이 원치 않게 장기간 구독을 이어가는 이유 중 하나는 "록인효과(Lock-in)" 때문이다. 구독료 인상이나 대체 서비스 등장에도 플랫폼을 이용하면서 쌓인 데이터를 뜻대로 반출하기 어려운 구조는 이탈을 가로막는다. 기업 입장에서는 데이터를 록인하면서 충성 고객을 확보할 수 있지만,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자율성이 제한되는 구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