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환경단체는 낙동강 지역 주민 콧속, 농산물, 수돗물 등에서 녹조 독소가 발견됐다는 조사 결과를 여러 차례 발표했으나, 윤석열 정부 당시 환경부는 "독소 미검출"이라는 상반된 분석 결과를 내놓아 양측은 마찰을 빚어왔다.
새 정부가 들어선 이후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4대강 녹조"에 대한 공식 사과를 내놓으며 정부와 환경단체 간 신뢰 회복의 계기가 마련됐는데, 이를 기반으로 향후 객관적인 조사와 대책 마련이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환경단체 2곳(낙동강네트워크·환경운동연합)과 함께 낙동강 녹조 심화 지역에 대한 조류 독소 공동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조사기관으로는 국립환경과학원과 경북대학교가 참여하며, 조사 대상은 대구 달성군 화원유원지 등 낙동강 본류 구간의 5개 지점이다. 각 지점에서 원수(자연상태의 물)와 일명 "에어로졸"로 불리는 공기 중 조류 독소를 모두 조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