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셔제작 체구는 작으나 체질이 강건하고 지구력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다. 질병과 진드기 저항성도 강해 방목과 사양 관리에 유리하다. 2013년 천연기념물 546호로 지정됐다. 백우는 한우 품종 중 가장 희귀한 소로 꼽힌다. 황우와 같은 계통이지만 백색증으로 모색이 흰색이며 외래 품종 샤롤레와는 전혀 다른 우리나라 고유 품종이다. 멸종위기 가축유전자원으로 지정돼 국립축산과학원 보호 아래 관리된다.
한우 명예홍보대사로 활동 중인 김호윤 셰프는 “한우는 같은 부위라도 품종에 따라 고유한 풍미를 지니고 있다”며 “많은 대중이 다양한 한우 품종의 맛과 차이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으면 좋겠다. 직접 맛을 느껴볼수록 한우의 다양성과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실제 이날 제주 흑우·칡소·황우(미경산우) 등 세 품종의 채끝과 치마살을 맛보니 모두 육질과 풍미가 제각각이었다. 세 품종 모두 같은 부위라도 품종에 따라 맛의 차이가 확연했고, 같은 종 안에서도 부위에 따라 맛이 달랐다.
마블링이 적당했던 황우는 부드러운 식감과 고소한 풍미가 동시에 느껴졌다. 일반적으로 한우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익숙한 맛이었다. 칡소는 씹을 때 느껴지는 조직감이 가장 단단했다. 그만큼 육향이 풍부하고 감칠맛이 더 강했다. 지방 함량이 낮아 .